목록독후감/기타 (2)
Stray Love
1. 계기 오륜서에 대해 알게 된 건 최영의를 통해서였다. 최영의는 생전, 여러 인터뷰에 나와서 오륜서에 대해 이야기를 했다. 자신의 인생을 바꾼 책이라며. 그리고 오륜서의 구절들이 여러 매체를 통해 나오기 때문에 한 번 쯤 읽어보고 싶었다. 쿠도를 하면서 어떻게 하면 잘해질 지 그런 것들에 대한 고민이 있는데 어쩌면 책에서도 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그렇기에 여기에 기록하는 내용은 지금의 나의 눈에 들어왔던 내용만을 적을 것이다. 2. 내용 - 시작 공(空)이란 무도를 익힌 사람이 열심히 한 결과 병법에 구속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道)란 자연을 본보기로 삼은 노력의 결과를 뜻한다. 1) 땅의 장 ○ 병법의 도(道)는 어떠한 대결에도 적용할 수 있는 도를 뜻한다. 병법을 단순한 검..

사실 이 책은 현재 듣고있는 '인도철학사' 강의에서 해야하는 발표를 위해 읽게 되었다. '히즈라'라는 사람에 대해 정보가 너무 없기도 하고, 이 책이 유일하게 히즈라를 말하고 있는 책이기도 하다. 98년도 책, 그리고 민족지, 그렇기에 읽으면서도 정보를 얻기에 한정적이였지만 그래도 있는 것에서 열심히 한다는 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닐까 히즈라는 (인도사람의 생각) 남성도 여성도 아닌 신이 선택한 존재이며, 한 가정의 번영과 다산을 위해 축복을 해줄 수 있지만, 축복 후 얻는 복채가 마음에 안들거나 히즈라 자신들에게 해를 가하는 사람들에게 저주를 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히즈라'라는 존재가 만들어질 수 있었던 것은 힌두교의 영향이 엄청 컸다고 할 수 있다. 힌두교에 나오는 시바신외에도 여러 명이 양성인 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