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독후감/종교 (4)
Stray Love
1. 서론 최근 무속신앙에도 차크라를 인용해서 쓴다는 것을 들었다. 힌두교에 관련된 책과 논문을 조금 조금 읽으면서 차크라에 대해 듣고 어느정도는 봤지만 정확히는 모르는 상황이였다. 그래서 이 참에 조금 읽어볼까 해서 논문을 찾아서 읽게 되었다. 법 관련해서 일을 하시는 분께 여쭈어봤을 때 논문을 읽고 요약해서 적는 것은 저작권법에 위반되지는 않는다고 했다. 영리창출의 목적이 아니여서. 어차피 내 블로그를 보는 사람도 없지만 혹시나 문제된다면 다시 지워야겠다. 2. 정리 1) 서론 20세기 이후 서구에 수용되어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차크라의 개념은 인도 전통 외적인 요소들이 많이 혼합되어 있다. 2) 본론 (1) 차크라의 개념 (2) 외적 의례의 요소에서 신체로 내면화된 차크라 (3) 차크라의 다양한 ..
1. 소개 바가바드기타는 마하바라타에서 일부분을 꺼낸 것으로 정확하지는 않지만 힌두교 내에서는 마하바라타보다 바가바드기타가 더욱 중요시된다고 한다. 마하바라타는 인도에 있었던 전쟁이야기 인데 그 중 아르주나가 전쟁을 앞두고 비슈누의 화신인 크리슈나랑 이야기 하는 부분이 바가바드기타이다. 즉, 전쟁의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내면의 전쟁에 관한 이야기이다. 2. 마음에 드는 구절 2장 11-13 : " 그대의 말은 그럴 듯 하다. 하지만 그대는 슬퍼할 이유가 없는 것에 대해 슬퍼하고 있다. 지혜로운 사람은 산 자를 위해서도 슬퍼하지 않고 죽은 자를 위해서도 슬퍼하지 않는다. 그대와 나와 여기 모여있는 왕들은 항상 존재하고 있었으며, 앞으로도 영원히 존재할 것이다. " 14-15 " 일시적으로 왔다가 가는 것들이..

1. 도입 나는 조로아스터교가 뭔지 모른다. 그래서 그냥 읽고 싶어졌다. 아, 그저 그냥만은 아니겠지..... 크리스천 부디스트인 나는 자연스럽게 인도철학, 자이나교, 브라만교,힌두교, 서양중세철학 등을 가볍게 접하게 되면서 세상에 종교가 생각보다 엄청나게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많은 종교 속에는 조로아스터교가 포함되어있었다. 소문에 의하면 조로아스터교는 불교와 천주교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또한 조로아스터교는 예언자 자라투스투라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어디서 본 이름이 있는 것이 아닌가. 자라투스투라....? ....? 니체??? '자라투스투라는 그렇게 말했다'....? 이런 느낌... 그래서 조로아스터교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고 싶어져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2. 책 내용 1) 조로아스터교는 ..

1. 우파니샤드 소개 인도에는 고대 종교가 있다. 힌두교의 모교라고 생각하면 편한데 그 모교의 성경, 쿠란이 베다이다. 그런 베다에 다양한 주석서가 있는데 그 주석서 중 하나가 우파니샤드이다. 그래서 어떤 학파, 사람 등이 주석을 했냐따라 또는 그 주석서의 성격을 담아 00우파니샤드로 부른다. 물론 그 다양한 우파니샤드를 관통하는 철학은 존재한다. 또한 이 우파니샤드는 베단따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베다의 마지막이란 뜻이다. 그저 베다의 마지막을 이루고 있다는 뜻은 아니고 베다의 핵심 이란 뜻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베다는 사실 자연현상을 신격화한 찬가나 제사의 형식 등 조금 종교적인 성향이 많이 강한 편인데 우파니샤드는 신기하게 이런 종교적인 면보다는 조금 철학적인 면이 강하다. 브라만과 아뜨만,..